[환경:ubuntu20.04 LTS]

[1.아파치 서버 설치하기]
$ sudo apt-get update
$ sudo apt-get install apache2

계속 설치하겠냐고 메시지가 뜨면 y를 누르고 계속 진행합니다.


*etc/init.d 라는 디렉토리는 daemon 프로그램들이 있는 디렉토리입니다.
(daemon프로그램은 냉장고처럼 항상 켜져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.)
daemon파일들을 키고 끄는건 터미널에서 sudo service 데몬프로그램명 start 혹은 stop으로 중단 할 수 있습니다.
여기선 apache2 서버를 켜보겠습니다.
[2.1 아파치 서버 시작하기]
$ sudo service apache2 start

$ ps aux | grep apache2

아파치가 켜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아파치가 잘 설치되었다면 로컬호스트로 접속했을 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.

[2.2 아파치 종료하기]
$ sudo service apache2 stop

start나 stop 명령 이후 아무런 반응 없이 이렇게 다음 줄로 넘어가면 실행이 된 것 입니다.
[참고 사이트]
리눅스(CentOS7)에 Apache Web서버 설치하기
#38 지난 시간에는 Web서버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.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앞서 Web서버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번에 설치하여 사용할 Web서버는 많이 알려져있는 Apache Web서버를 ��
goldsony.tistory.com
https://opentutorials.org/course/2598/14217
항상 실행 (daemon, service) - 생활코딩
수업소개 어떤 프로그램을 항상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. 수업 강의 1 - 데몬의 개념 강의 2 - service와 자동실행
opentutorials.org
https://webdir.tistory.com/196
[Ubuntu] 우분투 Apache(아파치) 이해
우분투는 일반적인 리눅스 배포판들과 다른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. 데비안 계열의 특징인듯 싶습니다. 설정 디렉토리 구조 /etc/apache2 설정파일 루트위치로, 설정파일들이 이 디렉토리 밑에 위치
webdir.tistory.com
'오늘의 공부 > 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완벽가이드(13일차): 10장 HTTP 2.0 (0) | 2021.12.24 |
---|---|
http 완벽가이드(12일차): 9장 웹로봇 궁금증 및 기록 (0) | 2021.12.02 |
http 완벽가이드(11일차): 8장 게이트웨이 궁금증 및 기록 (0) | 2021.11.29 |
http 완벽가이드(11일차): 7장 캐시 (0) | 2021.11.29 |
http 완벽가이드(10일차): 6장 프록시 궁금증 및 기록 (0) | 2021.11.26 |